G Gallery is pleased to present Invisible to the Naked Eye, a solo exhibition by Great Exhibition 2024 selected artist Jang Hyojoo, from April 17 to May 11. Questioning today's visual experience, which is mostly conducted through cell phones and monitors, Jang presents her experimental sculptural works that explore the question of whether the derivative images we encounter digitally can have the same texture and meaning as the corresponding real-world objects, and whether it is possible to grasp the true essence of an object when experienced only digitally. The exhibition addresses the tactility of the digital age, which is characterized by its 'visible yet not touchable' nature.

As the utilization of digital media rises and technology grows more sophisticated, it continues to occupy an ever-increasing share of each individual's daily life. The vibrancy of the virtual is unquestionable, as indirect experience through a screen has come to carry almost the same weight as being face-to-face with an object. Jang Hyojoo's work is based on the gap between artificial entities in digital media and reality. While using a 3D program to create three-dimensional forms, Jang found that despite exerting the same effort to cut and paste materials as she did with physical mediums, the finished outcome produced only a shell with no mass. She has since attempted to apply concepts that exist within the 3D program, such as "layers," to realize physical sculptures.

Jang Hyojoo's sculptures in the exhibition are seemingly unrestricted in terms of accessible physicality. Existing on the same plane as the viewer and observable from multiple angles, the diverse forms of silicone sculptures dominate the space, hanging on walls or suspended from the ceiling. First presented at the DOOSAN Art LAB Exhibition 2023, the series, titled Cast Skin, has matured to a point where the zipper is drawn down and the entrance to the previously concealed innards is wide open, as if in a welcoming gesture. The hope of having one's curiosity resolved, however, is dashed upon closer inspection. Another layer of transparent membrane sits between the gutted skin, barring access.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directly examine what is inside. Only the surface is perceived by the naked eye, and any tactile or other sensory experience is left to the viewer's imagination, reminding us that the situation it presents to us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at of the tightly zipped tail. It is a striking reference to the reality that despite reaching out to the world confined within the screen, we can only stroke the flat surface of the device, unable to truly grasp its fundamental essence.

The scene which Jang Hyojoo has created is both familiar and unfamiliar. If the objects on the screen, familiar in the way they are unreachable, are established as sculptures, could they replace the experience of visiting an exhibition and encountering the real thing? By giving tactile qualities to objects that have traditionally been approached purely visually, the artist challenges the complacent definition by which we define sculpture.

G Gallery는 오는 4월 17일부터 5월 11일까지 Great Exhibition 2024 선정 작가 장효주의 개인전 《육안으로는 관찰하기 어렵습니다》를 개최한다. 대부분 휴대폰과 모니터를 통해 이루어지는 오늘날의 시각 경험에 대해 질문을 던지는 장효주는 디지털로 접하는 파생 이미지가 과연 현실에서 마주하는 실제와 동일한 질감과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 디지털 상에서만 경험한 물체의 진정한 본질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한지 등에 대한 고민을 실험적인 조각 작업으로 선보인다. 이번 전시를 통해 ‘보이지만 만질 수 없는’ 특성이 두드러지는 디지털 시대의 촉각성에 대해 다루고 있다.

디지털 매체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기술이 정교해짐에 따라 개개인의 일상을 점유하는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화면을 통한 간접 경험이 물체를 직접적으로 대면하는 것과 거의 동일한 무게를 갖게 된 지금 가상의 생생함을 의심할 여지는 없다. 장효주의 작업은 디지털 매체의 허구적 실체와 현실의 간극에 기반한다. 3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입체적인 형상을 구현하던 그는 물리적 매체를 다루는 과정과 동일하게 재료를 자르거나 붙이는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끝내 남는 결과물은 덩어리가 부재한 껍데기 뿐임을 발견한다. 이후 ‘레이어’ 등과 같이 3D 프로그램 내에서 존재하는 개념을 실재하는 조각에 적용하는 시도를 거듭하고 있다.

전시장에서 마주하는 장효주의 조각은 겉보기에는 실재로의 접근에 제약이 없는 모습을 하고 있다. 감상자와 같은 차원에 존재하며 다각도로 관찰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실리콘 조각은 벽에 걸리거나 천장에 매달린 채 공간을 점유한다. 《두산아트랩 전시 2023》를 통해 처음 선보였던 〈허물〉 시리즈는 한 단계 진화하여 마치 환영을 하듯 끝까지 채워져 있던 지퍼를 내린 채 입구를 활짝 벌리고 있다. 그러나 궁금증의 해소는 내부를 더 자세히 살펴보는 순간 좌절된다. 내장을 내보이며 갈라진 피부 속에는 투명한 또 한 겹의 막이 자리를 잡아 다가갈 수 없게 막는다. 안쪽에 담긴 실체를 직접 확인할 방법은 없다. 그저 육안으로 표면만이 감지될 뿐 촉각이나 여타의 감각적 경험은 보는 이의 상상에 맡겨져 지퍼가 단단히 채워진 후미와 크게 다르지 않은 상태임을 되새기게 한다. 이는 모니터 화면 안에 갇힌 세계를 향해 손을 뻗어도 기기의 표면에만 머무르는, 본질에 도달할 수 없는 현실을 상기시킨다.

장효주가 제시하는 상황은 익숙한 동시에 낯설다. 닿지 못하는 것이 당연한 화면 속 물체를 조각으로 설정할 경우, 이와 전시장에 방문하여 실체와 마주하는 경험이 대체될 수 있을까? 시각적으로만 접근하던 대상에게 촉각의 성질을 부여함으로써 작가는 조각을 안일하게 정의하지 않기를 청유한다.